3주차 미션도 마무리되었다. 이번 미션은 특히 고민할 거리가 많았고 학습한 것도 많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문제 조건이 은근 까다로워서 애를 많이 먹었다 ㅎㅎ.. 내가 3주차 미션을 진행하면서 느꼈던 것, 학습했던 것들을 시간 순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객체 간 메세지를 전달해라 나는 2주차 미션에서 '객체 간 메세지'를 고려하지 않아서 아쉬움이 남았었다. (2주차 회고에서 언급했던 부분이다) 그 당시 시스템을 설계할 때, 메세지보다는 클래스 자체에 비중을 많이 뒀다. 이것이 객체지향의 핵심이라고 생각했다. 객체지향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객체가 가장 중요한게 아닌가? 이런 생각을 해왔었다. 정말 객체가 객체지향의 중심일까? 그렇다면 객체지향은 클래스 중심인가? 객체지향의 진짜 의미는 무엇인가? 궁금증이 들..
2주차 미션이 마무리되었다! 1주차와는 달라진 점, 고민했던 점, 학습한 것들을 위주로 작성해보려고 한다 😄 절차 지향적인 설계가 아닌 객체 지향적인 설계 1주차 미션에서 나는 절차지향적인 설계를 진행했었다! 이는 1주차 회고에서도 언급한 내용인데, 기능들을 그냥 생각나는대로 나열하고 이를 객체지향적으로 구현하려고 하니, 상당한 애를 먹었다 🥲 따라서 이번 미션에서는 설계 자체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가졌다. 실제 구현을 시작한 건 금요일이니, 수 - 금 3일동안은 설계에 대한 고민만 했던 것 같고,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도출하고 각 클래스에 무슨 메소드가 들어갈지 고안했다. 문제를 '함수' 단위로 분석하기 보단 '클래스' 단위로 분석하려고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또 한번 느낀 건 설계가 중요하다..
들어가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순히 공식을 암기하고, 풀이과정을 외우는 등의 공부 방법을 지향해왔을 것이다. 하지만 진정한 학습의 의의는 ‘야생 학습’에 있다. ‘야생 학습’이란, 협력적이고, 비순차적이며, 정답이 없는 학습을 의미한다. 도인을 만나 몇년동안 물을 기르고.. 이러다 보면 어느순간 내공자가 되어 있다는 도인 메타포는 거짓이다. 우리는 기존의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 ‘진짜 자라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방향성 없는 노력은 우리를 배신할 수도 있다 개발자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직업에 있어, 경력은 실력을 판가름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로 손꼽힌다. 하지만 이는 적어도 개발자에게는 적용되기 어렵다. 1년차 프로그래머와 10년차 프로그래머는 확실히 실력 차이가 엄청날 것이지만, 5년차와 10년차..
생각보다 엄청 많은 것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였다. 1주일만에 이렇게 성장한 적은 처음이었던 것 같다 😂 아래에는 일주일 동안 내가 깨달은 것, 학습한 것들을 작성하고자 한다! 커밋 컨벤션 이전까지는 커밋에 의미만 잘 전달되면 좋은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내가 간과했던 게 있는데, 코드는 나만 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peer review, 혹은 누군가가 나의 코드를 재사용 한다던지, 아니면 내가 누군가의 코드를 사용한다던지 .. 이 경우 커밋 컨벤션은 당연히 지켜져야 할 필요 요소이다! 따라서 중간부터나마 커밋 컨벤션을 적용하려고 했고, 이제는 어느정도 습관이 베인 것 같다. 아래는 내가 커밋 컨벤션에 대해 짧게 작성한 내용이다. (udacity commit convention 기준) (): 기본..
전환점 나는 이번 우아한테크코스 백엔드 5기에 지원하게 되었다. 우테코에 대해 조사할수록, 우테코가 가지고 있는 매력에 빠져들게 되었다. 우아한테크코스 뿐만이 아닌 우아한 형제들에게도 관심이 생겨서, 유튜브에서 우아한형제들이 가지고 있는 철학에 대해 모조리 찾아봤던 것 같다. 우아한 형제들의 사내 문구 중 '최고가 되어 떠나라' 라는 문구를 좋아한다. 이 한 문장에서 우아한 형제들과 우아한테크코스가 지향하는 바가 표현된다.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 나는 여태까지 개인 개발보다는 학점 관리에 힘을 써온 사람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학점을 처음으로 포기하게 되었다. (당장 내일이 시험인데 프리코스 준비중) 학점보다 더 가치있는 것을 만났기 때문이다. 사실 난 이전까지는 Java를 공부해본 적이 없었고, C++을..